[QT묵상 가이드] 2020년3월26일(목)

신명기 2:1~15

“믿음의 행진에서 기억할 원칙, 형제와 이웃을 존중하라”

-말씀 묵상-

오늘 본문 말씀은, 약속의 땅 가나안에 들어가지 못한 경위를 돌아본 후 주께서 광야로부터 다시 한번 방향을 바꾸어 가나안 땅을 향하게 하셨을 때의 모습을 재확인하고 있습니다. 그동안 무려 38년이라는 세월이 흘렀고 출애굽으로부터 하면 40년이 지난 것입니다. 이 일들을 통해, 주님의 약속은 반드시 성취된다는 것과 주께 순종하는 축복에 대해 나눠보고자 합니다.

1~7절
백성들이 불순종하여 주께서 광야로 보내신 후 38년, 방향을 바꾸어 다시한번 약속의 땅을 향해 출발하게 되었습니다. 38년이나 세월이 지났기 때문에 사실 그들은 광야 생활에 익숙해져 있었을 것입니다. 사람이란 익숙해져 있는 것을 바꾸기 위해서는 용기가 필요한 존재입니다. 그러나 백성들은 불완전하긴 하지만, 광야에서 주께서 지켜주신 것을 경험했기 때문에 적어도 주님 밖에 기댈 곳이 없다는 것을 배웠을 것입니다. 그러므로 이제는 북쪽 방향으로 방향을 바꾸라고 명령하셨을 때 순종할 수 있었던 것이겠죠. 광야에서의 가혹한 상황 가운데서도 주께서 살게 해주신 것을 경험한 것은 영적으로 헛된 일은 아니었던 것 같습니다.

그러나, 광야에서 약속의 땅을 향해 가면서도 여러 어려움이 있었던 것 같습니다. 그 길 가운데 거주하는 여러 민족들의 땅을 어떻게 통과할 수 있을까 하는 것이죠. 큰 무리가 통과해야 하므로 당연히 그 땅의 사람들은 경계했을 것입니다. 하나님은 그곳에서도 백성들이 주님의 말씀대로 걸어갈 수 있도록 훈련하십니다. 주님은 세일 지방에 살고 있는 에서의 자손(에돔인, 아브라함의 가계에서 갈라져 나온 가계, 에서는 야곱/이스라엘의 형)과는 소유지에서 싸워서는 안된다고 말씀하셨습니다. 그 이유는 주께서 세일 산지를 에서에게 주셨기 때문입니다.

주님은 38년이라는 세월이 흘러도 약속하신 것을 잊지 않으십니다. 그리고 주님은 더욱 오래된 에서와의 약속도 잊지 않으십니다. 또 에서 자손들의 도움이 아닌, 광야에서 살게 하셨던 하나님의 능력과 하나님이 주신 것들에 의해 걸어올 수 있었음을 가르치시기 위하여 먹을 것을 돈으로 사게 하셨습니다. 하나님은 사람의 능력이나 도움이 아닌, 사람으로는 할 수 없는 것을 통해 말씀을 이루십니다.

8~15절
에서 자손의 땅 세일을 떠나 이번에는 모압의 땅에 다다랐습니다. 주님은 이 모압 사람들과도 싸워서는 안된다고 말씀하십니다. 그 땅은 모압인, 즉 롯의 자손들에게 주신 것이기 때문입니다. 롯은 아브라함의 조카입니다. 모압인과 에돔인은 이전에 르바임이라고 불렸던 사람들을 쫓아낸 것으로 보입니다. 주님의 약속이 있었기에 가능했겠죠. 르바임을 가능한 한 성경을 기준으로 표현하자면, 하나님께서 영적으로 싫어하시는 큰 키가 특징인 민족입니다.

어쨌든, 그들은 말씀대로 출발하게 되었습니다. 또 이 38년간 세대 교체를 했고, 옛 군사는 없으며 주께 순종하는 것을 잘 아는 자들로 변화되었습니다.

-말씀 적용-

주님께 평안이 있음을 믿습니다. 주님은 약속하신 것을 잊지 않으시는 분입니다. 우리도 그 주님을 신뢰하여 어려운 때에는 주를 향한 소망을 잃지 않고, 은혜의 때에는 주를 향한 감사와 겸손을 잊지 않고 나아가겠습니다. 먼저 나에게 약속해주신 것을 다시 한번 생각하며 오늘 하루를 시작하고, 주께 순종하겠습니다.

-오늘의 기도-

주님을 바라보지 않으면 쓸 데 없는 싸움을 벌이게 됩니다. 부디 제가 주님의 인도하심대로 걷고, 주님의 말씀을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QT묵상 가이드] 2020년3월25일(수)

신명기 1:34~46

“불순종과 고집으로는 무엇을 하든 필패합니다”

-말씀 묵상-

오늘 본문은 모세가, 광야생활을 끝내고 약속의 땅을 향하려고 하고 있는 이스라엘 백성에게, 애초에 왜 광야 생활이 시작되었는지를 전하고 있는 내용입니다. 백성들의 불순종에 대한 기록이 계속되고 있죠. 약속의 땅에 들어가는 것은 새 세대 뿐이라고 하십니다. 실제로 40년간 동안의 광야 생활을 마치고, 세 세대가 된 이스라엘 백성이 같은 잘못을 반복하지 않도록 교훈을 전합니다. 그 교훈은 현재의 우리들에게도 이어져야만 합니다.

34~40절
갈렙과 여호수아를 제외하고, 모세를 포함한 모든 불순종의 백성들은 약속의 땅에 들어갈 수 없고 세대 교환을 한 세 세대만 약속의 땅에 들어가도록 하나님께서 정하셨습니다. 주님은 백성들에게 방향을 바꾸어 광야를 향하도록 하십니다.

애굽 가운데서 세상의 부에 미련이 있는 백성들은 주께 끝까지 순종하지 못했습니다. 그러나 광야에서 태어난 세대, 즉 주님이 아닌 다른 것들에 의지하는 법을 모르는 세대가 주께 순종할 수 있었죠. 우리가 아무리 자신을 기준으로 해서 주님을 평가하거나 비교하여도 주를 따르는 것은 어려운 일입니다. 아무리 생각해도 우리의 구원이 되는 것은 주님 밖에 없다는 것을 알 때야말로 주를 따를 수 있습니다. 자기중심의 완고함을 회개하고 주님을 중심으로 하는 겸손함을 배우며 나아가야 합니다.

41~46절
백성들은 다른 땅이 아니라 광야로 가라는 말씀을 듣자, 그게 무척 싫었기 때문에 역시 싸우러 올라 가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이미 때는 빼앗긴 후였고 주님의 말씀이 허락된 때에 순종했더라면 이겼겠지만, 주님의 말씀이 이미 변경된 시점에서는 아무리 노력해도 결과는 변하지 않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그것은 불순종에 불순종을 더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백성들은 지금 올라가면 지고, 지면 안되니까 올라가지 말라는 하나님의 말씀을 무시하고 기어코 올라가서 말씀대로 패배하고 많은 희생을 치릅니다.

주님의 말씀에 순종하는 것은, 어느 때고 상관 없는 것이 아니라 … 말씀하신 그 때가 있음을 알아야만 합니다.

“[QT묵상 가이드] 2020년3월25일(수)” の続きを読む

[QT一言アドバイス] 2020年3月25日(水)

申命記1:34〜46

「不信仰と強情な心では何をしても必ず負けます」

ーみことばの黙想ー

荒野生活を終えて、約束の地へ向かおうをしているイスラエルの民へ、そもそもどうして荒の生活が始まったのかをモーセが伝えている聖書箇所です。民の不従順が記録され続けています。約束の地に入るのは、新しい世代だけだと示されます。実際、40年の荒野生活を終えて、実際に新しい世代になったイスラエルの民が、同じ過ちを繰り返さないように、その教訓を伝えます。その教訓は、現在の私たちにも引き継がれるべきです。

34〜40節
カレブとヨシュアを除き、モーセを含む全ての不従順の民は約束の地に入ることはできず、世代交代した新しい世代だけが約束の地に入るように神が決められました。主は民に、向きを変えて荒野に向かうように決められました。
エジプトの中で、世の富に未練がある民は主に従順しきれませんでした。しかし、荒野で生まれた世代、つまり、主以外に頼ることを知らない世代が、主にしたがうことができました。わたしたちは、自分を基準にして主を評価したり、比べたりすることをいくらしても、主に従うことは難しいでしょう。どんなに考えても、私の救いは、主しかないことを知ってこそ、主にしたがうことができます。自分を中心とする強情さを悔い改め、主を中心とする謙遜さを知り、学ぶべきです。

41〜46節
民は別の土地ではなく、荒野に向かえと言われると、それが嫌だったので、やっぱり戦いに行こうとします。しかし、残念ながら、すでにタイミングは失われており、主のみことばが与えられている時に従ったのであれば、勝てたでしょうが、主のことばがすでに変わった時点では、どんなに努力しても、結果は変わりません。なぜなら、それは不従順に不従順を重ねる事だからです。民は、今行けば負ける、負けては行けないので、戦いに行ってはならないと言う神のことばを無視して、戦いに行き、みことばどおりに敗戦し、多くの犠牲を出しました。
主のことばに従うのは、いつでもいいわけではなく、示されたその時があることを知るべきです。

ーみことばの適用ー

主をみこころを求め、主にしたがうタイミングを逃さないように、普段の生活の中で、物事を判断する時に、まず最初に主が喜ばれるかどうかを考えます。生活だけを基準にしていると、主に従う時を逃してしまいます。

ー今日の祈りー

私は、いつ、どこで、主に従ったでしょうか? 今日は自分の好きなことをするのではなく、主に従ったとハッキリと認識できるような従順の体験を今日させてください。